인셉션, 다크나이트로 널리 알려진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작품이다.

크리스토퍼 놀란의 작품이라는 점에서도 유명하며 메멘토라는 영화 자체로도 유명하지만

나는 이제서야 감상하게 되었다.


영화의 줄거리를 보면 아내가 강도에게 강간, 살해당한 후 충격으로 단기 기억 상실증에 걸린 주인공이

아내의 복수를 위해 범인을 찾아 나선다는 이야기이다. 단기 기억 상실증으로 인해 약 10분마다 기억이 끊기는

주인공은 다른 사람들에 의해 이용 당하지 않기 위해 중요한 사실들을 사진으로 그리고 자신의 몸에

문신을 새김으로써 기록(memo) 한다.


여느 영화와 다르게 이야기의 중심은 시간순이 아니라 시간의 역순으로 흘러 간다.

이것 때문에 처음 2~3씬 (기억의 단편으로 나뉘어 과거로 거슬러 가는데 씬으로 구별된다)

정도는 영화의 전개에 정신이 없었다.


중간 중간씩 짧게 나오는 흑백 영상은 메인 컬러 영상의 흐름과는 반대로 과거의 기억을 

시간순으로 거슬러 간다. 


여기 까지 가 대략적인 스토리와 영화의 흐름이다. 한시간에도 여러번씩 기억을 잃는 주인공이 과연

어떻게 복수를 할 것이며, 주변 인물 누구의 말을, 어디까지 믿어야 하며 어느 것이 사실인가를

모두 생각하며 보는 것이 이 영화의 묘미라고 생각한다.


결말은 따로 적지 않겠다.


이 영화의 홍보물을 보면 "최고의 두뇌 게임" , "엄청난 반전" 등의 문구가 보이곤 하는데

반전 영화라는 생각은 들지 않았다. 


사람의 기억력, 사실의 왜곡 등에 대해서 잠시나마 진지하게 생각 해 볼 수

있었다. 단기기억증인 주인공은 오직 자신이 남긴 메모만을 사실로써 받아 들이고 행동 한다.

하지만 그 메모 자체가 왜곡 되어있는 것이라면?? 우리가 당연한 사실로 받아 들이는 것들이 사회나 주변

상황에 의해 그리고 자신의 가치관, 주관적인 생각에 의해 왜곡 될수도 있지 않을까??

영화에서 감독은 그것을 말하려고 하는 것이 아닐까?


기억은 자료를 검색 하는 것이 아니라 꾸며 내는 것이라고 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억은 변하기 때문에 우리는 기록이나 메모 등을 통해 사실을 남기곤 한다.

하지만 그러한 기록이나 메모 역시 아주 객관적인 것으로 볼 수 없을 것이며 무의식중 자신에게 유리한 쪽으로 

조작되거나 변형 됬을 수도 있는 것이다.


결국 인간은(심오하게도) 자기 자신 조차 완벽히 믿을 수 없는 불완전한 생명체이며

우리가 지극히 사실이다 라고 받아 들이는 행동에 조금은 의구심을 품고

"하지만 꼭 그렇지는 않을 지도?" 라고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그러다 의심병 환자

될수도 있지만)


아무것도 온전히 맹신하지 마라


-----딴생각-----

주인공이 10분 간격으로 기억을 잃어 버린다.

하지만 현대의 우리들은 그 주기의 단위만 다를 뿐이지(몇일, 몇주, 몇년) 역시 주인공과 같은

단기 기억살실증이 아닐까 한번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좀 긴 단기 기억 상실증)




Posted by Yann'
,

{a1, a2, a3, ..., an} 이라는 집합이 있을 때, 부분집합의 공식은 2의 n 거듭제곱 이다.

예를들어 {1,2,3,4,5} 라는 집합이 있다면 부분집합의 수는 곧 1,2,3,4,5 이 다섯개의 원소들을 가지고 만들수 있는 경우의 수이다. 

1: O X    2: O X    3: O X    4: O X    5: O X

위 처럼 각각 원소는 2가지 경우의 수가 있으며(있고, 없고)

모든 원소가 X일시 공집합이 되고

1,2만 O일시 부분집합 {1,2} 가 된다.

즉, 각각의 원소들의 경우의 수는 2가지이며 이를 통해 조합 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2×2×2×2×2 = 32 즉, 2의 5 거듭제곱인 것이다.


일반화할시

K개의 원소를 가진 집합 {a1, a2, a3 ... , ak} 의 부분집합의 수는 2의 K거듭제곱이다.

Posted by Yann'
,

윤성우님이 쓴 열혈강의 c++을 보다가 이런 문구를 발견했다. 

프로그래머로써 발걸음을 한발 디디는 순간에

그리고 걸어가는 과정속에

마지막 발걸음을 옮기는 순간까지 잊지 말아야 겠다는 생각에 여기다 옮겨 적는다.


"가져다가 쓰는 것은 누구나 할 수 있다. 그것도 쉽게 할 수 있는 일이다. 그러나 그 원리를 이해하고 직접

구현하는 것은 쉽게 이뤄지지 않는다. 조금 더 발전 가능성 있는 개발자가 되기 원한다면, 

잘 구현된 List 자료 구조를 가져 다가 쓰는 방법을 익히는 것이 아니라,

원리를 이해하고 List 자료 구조를 직접 구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개발 이야기 > 나는프로그래머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큰 그림을 그릴 수 있는 화가.  (0) 2013.08.06
Posted by Yann'
,